대체 조사료 생산단지 조성에 대한 제언
의정 단상
우리나라 축산업은 지난 몇 년간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조사료 자급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국내 한우 사육 두수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해 2023년 12월 기준 387만 7000두에 달했지만, 조사료 자급률은 약 80%에 불과하다. 나머지 20%는 외국에서 수입해야 하며, 이는 연간 100만 톤 이상에 달한다. 국내 사육두수 증가에 따라 조사료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한우값이 폭락하면서 축산 농가들은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한우값 폭락의 주요 원인은 사육 두수의 급증에 따른 공급 과잉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소비가 위축되면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한우 가격은 급격히 하락했으며, 농가들은 생산비조차 회수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축산업은 조사료 수급 문제로 인해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유럽의 축산업은 넓은 초지에서 가축을 방목하며 자연스럽게 자라는 풀을 조사료로 사용하지만, 우리나라는 초지가 부족하여 볏짚이나 수입된 조사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볏짚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조사료 중 하나지만, 잔류농약 문제로 인해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축산물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조사료 수입에 의존할 경우 국제 시장의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며, 이는 축산 농가의 비용 부담으로 이어진다. 최근 국제 곡물 가격 상승과 기후 변화로 인해 조사료의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농가의 경영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조사료의 가격 상승은 한우 사육비용 증가로 이어져, 이미 폭락한 한우 가격과 맞물리며 농가들에게 이중고를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내 조사료 자급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으로 하천부지와 유휴 국공유지를 활용한 대체 조사료 생산단지 조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이 주도하는 ‘하천부지 활용 들풀 사료화 프로젝트’는 그 좋은 사례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하천부지에서 야초를 조사료로 활용함으로써 농가의 사료비를 크게 절감하고, 친수공원의 경관도 개선하며, 환경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 이와 같은 사업이 전국적으로 확대된다면, 조사료 자급률을 높여 축산업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나아가 수입 조사료 의존도를 낮추고, 환경적으로도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천부지뿐만 아니라 간척지, 댐의 미침수부지와 같은 유휴 국공유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조사료 재배 면적을 넓히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더 건강하고 안전한 축산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한우 값 폭락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와 관련 기관들의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 우선, 사육 두수 조절을 통해 공급 과잉을 해소하고, 소비 촉진을 위한 홍보와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 조사료 생산단지 조성과 같은 중장기적인 대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안정적인 조사료 공급이 뒷받침된다면, 농가들은 경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한우 가격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우 값 폭락의 원인으로 작용한 사육 두수 증가와 조사료 수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농협 등이 협력하여 대체 조사료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 축산업은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